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2025년 최저임금 계산하면 월급은 얼마일까?

by 비우m 2025. 6. 11.

최저시급 10,030원, 월급과 실질 시급은 얼마일까?

2025년 최저임금이 시급 10,030원으로 확정되면서, 아르바이트나 단기근무자, 그리고 최저임금 근로자들이 가장 궁금해하는 내용은 바로 월급과 주휴수당입니다. 이 글에서는 2025년 최저임금 기준으로 월급, 주휴수당, 실수령액까지 쉽고 정리해보겠습니다. 

2025년 최저임금은?

2025년 최저 시급 - 10,030원

2025년 최저임금은 2024년 9,860원에서 약 1.7% 인상되어 시급 10,030원으로 결정되었습니다.

 

최저임금 월급은 얼마인가요?

법정 월 환산 기준은: 주 40시간 × 4.345주 = 월 209시간입니다.

시급 : 10,030원
월 근무 시간 : 209시간
월급 (세전) : 2,096,270원

즉, 주 5일 하루 8시간 근무 시 약 209만 원이 최저 월급 기준이 됩니다.

 

고용노동부 공식 최저임금 계산기

주휴수당이란? 

주휴수당은 일주일 동안 성실히 일한 근로자에게 유급 휴일 하루치 급여를 지급하는 제도입니다.

 

주휴수당 지급 요건
- 1주일에 15시간 이상 근무

- 정해진 근무일을 개근

예: 주 5일, 하루 3시간씩 일하면 총 15시간 → 주휴수당 지급 대상!

 

주휴수당 포함 실질 시급
주휴수당이 적용되면, 일주일 근무에 비례해 하루치 임금이 추가로 발생합니다.

계산 방법
실질 시급 = 시급 + (시급 × 1일 근무시간 ÷ 주 총 근무시간)

 

예: 주 5일 하루 8시간 근무 → 주 40시간

     주휴수당: 8시간 × 시급 10,030원 = 80,240원

     실질 시급 = 10,030원 + (80,240 ÷ 40) = 12,036원

 

주휴수당 포함 월급은?

주휴수당이 포함되면, 실질 월급은 더 높아집니다.

 

 


월급 (209시간 기준) : 2,096,270원
주휴수당 (월 약 35시간 추가) : 약 351,050원
총액 : 약 2,447,320원

단, 주휴수당은 정해진 조건을 충족한 경우에만 지급됩니다!

 

다양한 예시로 알아보는 주휴수당

근무 형태 주간 근무 시간 주휴수당 설명
주 5일 × 하루 4시간 20시간 40,120원 하루 4시간 × 시급 10,030원
주 3일 × 하루 5시간 15시간 50,150원 하루 5시간 × 시급 10,030원
주 2일 × 하루 5시간 10시간 지급되지 않음 15시간 미만 근무 시 미지급

 

실수령액은?

실제로 통장에 입금되는 금액은 4대 보험 공제 후 금액입니다.

 

월급(세전) -  2,096,270원
공제 예상액 (약 9%) - 약 188,000원
예상 실수령액 - 약 1,908,000원

항목 금액
월급 (세전) 2,096,270원
공제 예상액 (약 9%) 약 -188,000원
예상 실수령액 약 1,908,000원

 

※ 주휴수당이 별도로 지급되거나 포함되었는지 여부에 따라 실수령액은 달라질 수 있습니다.

 

최저임금위원회에서 확인하기

근로자라면 꼭 체크해야 할 부분

- 주휴수당 포함 시급이 최저임금보다 낮을 수 없습니다.

- 계약서에 주휴수당 포함 여부가 명시되어 있어야 합니다.

- 조건 충족 시 주휴수당을 지급하지 않으면 근로기준법 위반입니다.

- 궁금한 점은 고용노동부 1350으로 문의하세요.


아르바이트를 하거나 단기근로계약을 맺는 분들은 반드시 주휴수당 지급 조건과 계약서 명시사항을 확인하세요!
정당한 권리는 당연히 보장받아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