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중위소득 100%, 2026년 기준 중위소득 역대 최대로 결정

by 비우m 2025. 8. 1.

매년 여름이면 보건복지부에서 발표하는 중요한 수치가 있는데요, 바로 기준 중위소득입니다.

기준 중위소득은 국민의 복지와 직결되어 여러 분야에서 사용되는 핵심 지표인데요,

오늘은 이번에 새로 결정된 2026년도 기준 중위소득에 대해서 정리해보겠습니다.

기준 중위소득


기준 중위소득이란 국민 가구소득의 중간값으로,

우리나라 전체 가구를 소득 순으로 줄 세웠을 때 정확히 중간에 있는 가구의 소득을 의미합니다.

 

이 기준은 기초생활보장제도 및 각종 복지사업의 선정 기준으로 사용되는 매우 중요한 지표입니다.

예를 들어, 생계급여·의료급여·주거급여·교육급여 등 복지 수급 여부가 기준 중위소득에 따라 결정됩니다. 

이 수치는 보건복지부 장관이 매년 ‘중앙생활보장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고시합니다.

 

2026년도 기준 중위소득


2026년 기준 중위소득은 전년 대비 역대 최대 인상폭을 기록했습니다.

특히 1인 가구와 저소득층 가구에 더 큰 영향을 미치게 될 전망입니다.

가구원 수 2025년 중위소득 2026년 중위소득 인상률
1인 가구 2,392,013원 2,564,238원 7.20%
4인 가구 6,099,083원 6,494,738원 6.51%

 

2026년 중위소득 상승률은 5년 연속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고 합니다. 

 

관련 뉴스 영상 확인

 

복지 급여 기준


2026년에도 복지급여별 기준은 기존과 동일한 비율을 적용되지만

중위소득 자체가 인상되었기 때문에 수급 금액은 자연스럽게 오르게 됩니다.

급여 종류 선정기준  4인 가구 기준 금액 (2026년)
생계급여 32% 2,078,316원
의료급여 40% 약 2,597,895원
주거급여 48% 약 3,117,474원
교육급여 50% 약 3,247,369원

 

생계급여를 기준으로 보면,

1인 가구: 765,444원 → 820,556원

4인 가구: 1,951,287원 → 2,078,316원으로 인상되었습니다.

 

주거급여 및 교육급여도 변화가 있었는데요,
주거급여: 기준임대료가 1만 7천 원 ~ 3만 9천 원 인상

교육급여: 교육활동지원비가 평균 6% 인상 되었습니다.

 

 

2026년도 기준 중위소득의 인상은 더 많은 국민이 복지 사각지대에서 벗어나 실질적인 지원을 받을 수 있는 기회를 의미합니다.

또한 기준 중위소득 발표와 함께 맞춤형 완화 정책이 언급되었다고 하니 서민들의 실질적인 삶의 질 향상으로 이어질 것으로 기대됩니다.

앞으로도 매년 발표되는 기준 중위소득과 그에 따른 복지 정책 변화를 관심있게 지켜봐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