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대한민국 예비군 제도! 예비군 훈련 기간, 시간, 동원지정자란? 연기 사유까지 총 정리

by 비우m 2025. 4. 9.

현역 군 복무를 마친 뒤에도 끝나지 않는 국방 의무, 바로 예비군 훈련입니다.

여전히 나라를 위해 수고해주시는 많은 분들의 헌신에 감사합니다. 

그런데 군인의 날에 이어 예비군의 날도 있다는 사실, 알고 계신가요?

지난, 4월 4일은 예비군의 날이었습니다.

2016년부터 4월 첫째 주 금요일을 예비군의 날로 지정해서 기념하고 있습니다.

예비군의 날을 맞아 대한민국의 버팀목, 예비군 훈련 제도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합니다.

 

 

저도 남편, 동생이 예비군을 거쳐 민방위까지 왔음에도 예비군 훈련 제도에 대해서 잘 모르고 있었는데요,

예비군 훈련을 처음 시작하는 분들이나, 갑자기 궁금한 부분이 생길 때가 있잖아요. 

한 번쯤은 "이거 꼭 가야 해?", "군복 안 맞는데 어떻게 하지?" 같은 궁금증이 생길 때도 있었을 텐데요.
오늘은 예비군 제도부터 훈련 종류, 기간, 복장, 연기 사유까지 한 번에 정리해 드릴게요!

 

1. 예비군 제도란?


예비군은 현역 복무를 마친 국민이 유사시 전력 보강을 위해 편성되는 제도입니다.
전쟁이나 국가 비상사태가 발생했을 때, 예비군이 신속히 소집되어 군사 작전을 지원하게 됩니다.

 

편성 대상

: 현역·보충역 복무 완료자

 

복무 기간

: 총 8년 (1~4년 차: 동원예비군 / 5~6년 차: 지역예비군 / 7~8년 차: 향방예비군)

  * 전역, 복무가 만료되는 해의 다음 해부터 1년 차가 됩니다. 

연차별 예비군 훈련 종류 정리

연차 훈련 종류 시간
0년 차 전역 당해 년도로 별도 훈련 없음.  -
1~4년 차 동원훈련 I형 2박 3일
(간부 예비군은 6년 차까지)
동원훈련 II형 32시간(4일간 출퇴근)
공군은 2박 3일 입영
5~6년 차 기본훈련 8시간
작계훈련 12시간 : 6시간 * 2회
7~8년 차  미이수 훈련  

 

동원 지정자란?

예비군 1~4년 차 중에서도 전시에 우선 동원될 예비군을 '동원지정자'라고 합니다.

주로 전투병과 출신, 또는 특수기술 보유자가 지정됨

실제 군부대에 입영하여 2박 3일 훈련을 받음

병무청 홈페이지 또는 예비군 사이트에서 본인의 지정 여부 확인 가능

확인 방법: 예비군 홈페이지 > 나의 정보 > 훈련 정보 확인

 

예비군 훈련 시 복장은?
예비군 훈련은 군복 착용이 원칙입니다. 사복 착용 시 입소가 제한될 수 있어요!

필수 복장
- 전투복 (예비군복)

- 전투모, 전투화

- 벨트, 이름표

* 군번줄, 텐트, 방탄복 등은 지참하지 않아도 됨

* 군복이 없다면 훈련장에서 일시 대여 가능하다고도 하지만 수량이 한정되어 있습니다. 

* 군복 구매는 군인마트, 온라인 밀리터리샵 이용 가능

 

예비군 훈련 장소는 어디?
예비군 훈련 장소는 본인의 주소지 또는 지정된 부대 기준으로 정해집니다.

지역 예비군훈련장 일반 예비군 대상. 지역 단위 소규모 훈련장
군부대(동원훈련소) 동원훈련 대상자는 실제 부대 입소
민방위시설 병행 일부 지역은 민방위 훈련장과 함께 사용

 

예비군 훈련 장소는 훈련 통지서 또는 예비군 홈페이지에서 장소, 지도 확인 가능합니다. 

 

2. 예비군 제도에서 중요한 예비군 훈련, 연기할 수 있을까?

 

정당한 사유가 있다면 훈련 연기 가능합니다. 단, 증빙서류는 필수겠죠?

 

 

사유  필요한 증빙
직장 일정 (출장, 야근) 재직증명서, 출장명령서 등
학업 (시험, 졸업 준비) 재학증명서, 시험 일정표 등
건강 문제 진단서, 입원확인서 등
가족 경조사 부고장, 청첩장 등
해외 체류 항공권, 출입국 증명서 등


예비군 훈련을 연기하려고 하는 경우,

훈련 3일 전까지 예비군 사이트나 병무청 앱에서 신청해야 인정됩니다.

 

3. 예비군 훈련 Q & A


Q. 군복이 작아졌어요!

-> A. 군복은 군인마트 또는 온라인에서 구매 가능합니다.

        대여는 한정수량만 가능하다고 하니 준비해 두는 것이 좋습니다. 

 

Q. 사격 훈련도 하나요?

-> A. 일부 훈련장에서는 실사격 또는 시뮬레이터를 사용하여 훈련합니다. 

 

Q. 무단 불참하면 어떻게 되나요?

-> A. 과태료 + 보충훈련 또는 형사처벌 대상

         정당한 사유 없이 불참 시 과태료가 최대 100만 원, 2회 이상 반복 불참 시 최대 200만 원,

         보충 훈련에도 무단으로 불참할 경우에는 형사처벌의 대상이 될 수 있습니다. 

         단순하게 깜빡하는 것도 무단불참으로 처리 될 수 있습니다.

         훈련 당일 지간이나 조퇴도 특별한 사유 없이 반복되면 과태료 대상이 될 수 있습니다.

         상황에 따라 과태료는 10~200만 원까지이니 일정은 미리 체크해 보세요!    

 

Q. 훈련 장소가 현재 있는 곳과 먼 것 같은데 장소를 바꿀 수 있나요?

-> A. 예비군 사이트에서 자율 신청 또는 일정 변경 가능합니다. 

 

 

예비군 훈련, 바쁜 일상 중 번거로울 수 있지만 국가 안보를 위한 소중한 의무입니다.
미리 일정을 확인하고 준비한다면 큰 스트레스 없이 잘 마칠 수 있어요.

군복 점검, 일정 확인, 그리고 연기 사유 등을 체크하셔서 무사히 훈련이 지나가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